시놀로지의 네트워크 설정 - 내부 네트워크
- 2 minutes read - 214 words처음 나스를 사면 제일 처음 만나는 관문이 네트워크 설정 이다.
여기서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팔아버리거나,
창고 행이 되버린다.
그럼 기본적으로 해줘야 하는 설정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글을 남긴다.
시작하기 전에 한가지는 알고 가자
내부아이피 & 외부아이피
아래처럼 내부아이피에는 세가지 종류가 있다.
아이피가 저 숫자로 시작하면 내부아이피,
그 외에는 거의 대부분 외부아이피라고 생각하자.
시놀로지를 사용하다가 몰라서 인터넷을 뒤져보면
내부,외부 아이피 이야기는 꼭 나오므로 기억해주자.
10.0.x.x
172.16.x.x
192.168.x.x
내부아이피는 집안 내부에서만 사용 가능한 IP다
VPN이라는걸 쓰면 외부에서도 사용가능하지만 우선 그건 생략
외부아이피는 집안 외부,내부 둘다 사용 가능한 IP다
처음 설치
- 공유기에 랜선을 나스에 연결해준다
- 컴퓨터에서 http://find.synology.com를 입력하면 NAS가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어있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 연결 버튼을 누르면 나스 초기 셋팅 페이지로 연결된다.
IP 주소 부분을 보면 192.168.x.x 인게 보인다. (내부아이피)
하지만 이렇게 정상적으로 안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그럴 때는 아래를 참고
find.synology.com으로 나스가 안보인다면?
예상할 수 있는 문제점은
- 공유기에 나스가 연결이 안되어있다. 이거 하나다.
이럴 때는 집에 있는 공유기에 접속해서
실제 나스의 아이피 주소가 등록되어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여기서 이해해야 할 부분은 내부 아이피는
인터넷이 되는지 안되는지와 상관없다
공유기에 실제로 나스가 인식이 되어있는지가 중요하다
Iptime 공유기에서는
고급설정 -> 네트워크 관리 -> 내부 네트워크 설정에서 찾을 수 있다
만약 공유기에 나스IP가 안보인다면
- 랜케이블을 바꿔본다
- 공유기를 껏다 켜본다
내부아이피는 처음에는 랜덤이기 때문에
새로운 내부아이피가 보이면
그 아이피 주소(192.168.x.x)를 브라우져에 입력하여 확인해보자
정상적으로 접속이 된다면 최초 설정 창이 뜬다.